회사 소개
아프리카TV는 대한민국의 1인 미디어, 인터넷 방송, SNS 플랫폼이다. (주)아프리카TV에서 운영하며, 특별한 기술·장비·비용 없이도 누구나 쉽게 개인용 PC나 모바일 기기(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로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 생방송을 할 수 있다. 웹캠 방송은 물론 PC 모니터상의 화면을 전송할 수 있어 누구라도 다양한 소재를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채팅 화면이 있어 방송인과 시청자 사이에 실시간 소통이 가능하다. 시청자는 현금 결제를 통해 사이버 머니인 '별풍선'을 구매해 인터넷 방송인에게 자발적으로 후원을 할 수 있다.
핵심 개념
‘기부경제선물'이란 ‘별풍선’ 혹은 '도네이션' 이라는 명칭으로 불리우는 현금을 통해 구매한 개인방송인에게 기부/선물 목적으로 구매한 사이버 머니를 통칭하는 용어로 아프리카TV에서사용하기시작한용어이다. 때로는 방송인/스트리머에게별풍선등의사이버머니를줌으로서 작동하는 경제 생태계 자체를 뜻하기도 한다.
요약
- 의견 : 매수(Buy)
- 주가 예상 : 101,260원
- 한줄평: 네이버의 신규 방송 플랫폼 서비스인 치지직과 비교해 우수한 경쟁력과 노하우를 보유한 아프리카TV는 트위치 코리아의 한국 사업 철수로 인해 생긴 시장 점유율 치지직보다 많이 흡수하면서 동시에 2024년에 예정된 국제 스포츠 행사 및 게임 행사 등을 통해 2024년 기대되는 성장을 이룰 것으로 예상됨.
종목 추천 근거
- 트위치 코리아의 한국시장 철수(2024년 2월 27일부로 철수)로 인한 매출 증가 효과 기대
- 아시안컵, 파리올림픽, 발로란트 대회, 롤드컵 등 단기적 수혜 효과 기대
- 숲(SOOP)으로사명변경후의이미지개선과해외진출로인한장기적발전효과기대
- 네이버의 신규 방송 플랫폼 서비스인 치지직과 대비해 경쟁력 우위 기대
매출 분석
한국에서 사업 철수를 예고한 트위치 코리아의 매출 총액
- 트위치 코리아는 방통위에 2022년 매출을 약 21억 원으로 신고했으나 이는 아프리카TV의 매출이 같은 기간 3,150억 원인 것에 대비해 신빙성이 부족함.
- 매출이 아니라 영업 이익이 21억이라면 가능한 수치이나, 이 역시 아프리카TV의 같은 기간 영업 이익 약 900억 원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으로 이 역시 자세히 살펴볼 필요가 있음.
- 한편, 아프리카TV가 그리드를 사용해 비용의 큰 부분을 차지하는 망 사용료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는 점과 트위치의 물리적 서버가 홍콩에 있다는 사실 등 여러 변수가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영업 이익 21억 원이 불가능한 수치라고 단정할 수 없음.
- Business of Apps의 데이터에 따르면 아마존의 자회사인 트위치의 전체 매출은 약 28억 달러(약 3조 5,000억 원)이며, Statistia의 2023년 4월 기준 트위치 국가별 트래픽 데이터는 한국의 트래픽 비중이 약 4.70%로 집계되기 때문에 2023년 말 기준 전체 한국인 이용자 비중을 약 5% 정도로 가정해 볼 수 있음.
- Business of Apps의 데이터에 따르면 트위치의 분기별 스트리밍 시청 시간은 2022년 2분기부터 소폭 하락세 내지는 현상 유지를 하고 있기 때문에 2022년 대비 2023년 매출 성장이 없다고 가정하고 최종적으로 3.5조 원 × 5% = 1,750억 원 내외로 매출을 예상해볼 수 있음.
- 여기서부터는 1,750억 원의 트위치의 매출이 아프리카TV와 네이버의 치지직 가운데 어느 쪽으로 더 파이가 분배될지 그리고 어떻게 분배될지 판단해 볼 필요가 있음.
아프리카TV의 치지직 대비 트위치 시장 점유율 흡수 비중 예상
- 트위치 코리아 유저 100% 가운데 몇의 비중이 아프리카로 갈 것인지 치지직으로 갈 것인지는 쉽게 예상할 수 없으나, 아프리카TV로의 유입 비중이 절반 보다는 많은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근거는 다음과 같음 :
- 아프리카TV는 BJ(방송인) 등급에 따라 BJ에게 정산되는 수입 분배 비율을 60~80%로 설정하고 있고 가장 높은 등급인 파트너BJ의 경우 80%를 정산해주는 반면 네이버는 기본 원칙을 가장 높은 등급의 파트너 스트리머(파트너BJ와 같은 용어)에게 70%의 분배 비율로 설정하고 있고 스트리머 영입을 위해 사전 협의된 소수의 스트리머에게 75%의 분배 비율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대형 스트리머일수록 아프리카TV가 금전적으로 유리함. 더불어, 아프리카TV의 경우 상위 2개 등급의 BJ가 기부선물경제 매출의 70% 이상을 창출하고 있기 때문에 대형 스트리머 유인이 중요하게 작용함.
- LOL 선수인 페이커 제외 트위치 1위 스트리머 우왁굳을 비롯, 우왁굳 산하 스트리머 그룹의 아프리카TV 이적이 확정됨.
- 최근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는 버츄얼 스트리머 가운데 대형 스트리머들이 우왁굳과 연결고리가 있다는 사실과 아프리카TV 스트리밍에 존재하는 “선명하게 보기” 옵션을 통한 버츄얼 스트리머 시청자 편의성 증대가 버츄얼 스트리머로 하여금 아프리카를 선택하게 하고 있음.
- 확정된 사실은 아니지만 아프리카 TV는 현재 베타 테스트로 1440p 고화질 방송 송출을 시험하고 있으며 네이버는 현재 1080p 화질의 방송 송출만이 가능함. 트위치는 망사용료를 이유로 1080p를 유지하다가 최근 720p로 바꿔서 트위치 유저들의 방송 화질 체감이 아프리카TV가 더 좋을 것임. 아울러, 게임 콘텐츠 스트리머라면 고화질의 아프리카TV가 더 매력적인데 인터넷 방송의 주요 소비 콘텐츠가 게임플레이인 것을 감안하면 이른바 ‘여캠’ 매출 비중이 높은 아프리카TV의 매출구조 개선도 예상됨 . (트위치도 전세계 기준 약 60%가 게임 콘텐츠였음)
- 아프리카TV가 기존의 ‘여캠방송’ 또는 ‘막장 방송인’ 이미지를 탈피하고자 사명을 숲(Soop)으로 변경할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BJ나 별풍선 등의 용어도 변경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져 있음.
- 치지직의 불안정성 : 트위치 스트리머 ‘오X’는 치지직과 아프리카TV와의 미팅 후기를 전했는데 치지직 측은 어떠한 질문에도 긍정적인 답변을 내놓으며 “된다”는 얘기를 계속하는 반면 아프리카TV는 다년 간의 노하우를 통해 방송 송출 가능한 콘텐츠와 그렇지 못 한 콘텐츠에 대해 논리정연한 설명을 제공해 신뢰감을 주었다고 방송에서 발언했음. 이러한 아프리카TV의 노하우가 스트리머 영입 및 플랫폼 운영에서 역량을 발휘할 것임.
- 열거한 사실 및 추정을 근거로 트위치 유저/스트리머의 아프리카 유입 비중을 60%, 네이버 유입 비중을 40%로 아프리카에 살짝 유리하게 가정해 트위치의 매출이 아프리카TV에 일부 전이됐을 때의 아프리카TV의 미래 매출을 예상해 볼 필요가 있음
아프리카TV의 매출구조와 2023년~2024년 매출 예상
- 아프리카TV의 매출은 재무제표 주석 상 플랫폼매출, 광고/콘텐츠 매출, 기타매출로 분류해 집계되고 있음.
- 2022년 사업보고서 기준 아프리카TV의 총 매출은 약 3,150억 원임.
- 이 가운데 플랫폼 매출은 IR자료에서 기부선물경제(별풍선), 구독, 여타 아이템 사용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손익계산서 주석 상 23년 3분기 기준 누적 총 매출 2,472억 원의 77%(1,905억 원)를 차지하고 있음.
- 광고 매출은 인스트림(영상중간 광고), 배너, 애드벌룬 등의 광고를 이야기 하며, 약 20%의 매출을 차지하고 있음.
- 2022년 사업보고서 기준 2022년 총 매출은 약 3,150억 원임
- 2022~2023년 기간의 매출 주요 창출원인 플랫폼 서비스 매출 성장률 12%를 2022~2023년 기간 총 매출 성장률로 가정 시 2023년 총 매출은 약 3,500억 원일 것으로 예상됨.
- 2023년 예상 매출 3,500억 원에 재차 플랫폼 서비스 매출 성장률 12%를 곱하고 이 값을 2023년 매출에 더해주면 2024년 매출액으로 3,920억 원이 도출됨. 이는 트위치 코리아의 파이 흡수를 고려하지 않은 수치임.
- 여기에 트위치 코리아 2023년 예상 매출액 1,750억 원에 아프리카TV가 가져올 점유율 60%를 곱한 1,050억 원이 2024년에 변화 없이 아프리카TV로 이동한다고 가정한다면 2024년 아프리카TV의 예상 매출은 3,920억 + 1,050억 = 4,920억 원이 도출됨.
- 한편, 서비스 종료 시점에서 장기적/영구적으로 이탈하는 시청자/스트리머도 있을 수 있고, 한국 매출의 외국인 시청자 기여도도 있을 수 있음.
- 또한, 아프리카TV의 파트너BJ 대우가 트위치보다 더 유리하면서 동시에 아프리카TV의 IR자료 상 베스트BJ와 파트너BJ의 기부경제 선물 기여도가 23년 3분기 기준 약 73%로 높은 사실도 고려했을 시 실제 매출 상승은 산술적인 수치보다 더 작을 것임.
- 나아가, 모든 유저가 일시에 한 번에 옮겨오는 것이 아니라 점진적으로 이동하고 이동을 하더라도 기부경제선물을 통한 매출 기여 유저가 되기 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생각됨.
- 한편, 2024년에 예정 돼 있는 아시안컵 및 파리올림픽 등 각종 국제 행사로 인해 아프리카TV와 치지직 모두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됨. App Ape의 데이터에 따르면 2018년 월드컵 당시 아프리카TV의 트래픽이 한국 경기 때마다 2배씩 상승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도 평시 DAU(Daily Active Users)가 유의미하게 많았던 것을 확인할 수 있음.
- 따라서, 이러한 점들을 고려해 산술적으로 합산한 4,920억원 보다는 할인됐으나 트위치 코리아의 철수로 공백이 생긴 시장 파이를 고려하지 않은 3,920억 원보다는 높은 수치인 2024년 총 매출액 약 4,300억 원이 나올 것으로 추정됨.
2024년 이익 추정
- 2022년 사업 보고서에 따르면 매출은 2021년에 비해 크게 상승했으나 영업비용의 상승 폭이 더 큼에 따라 영업 이익이 21년에 비해 낮게 나왔음. (OPM: 22년 26.2% vs 21년 32.6%)
- 손익계산서와 MD&A에 따르면 인건비 증가와 코로나 종식으로 인한 투자 증가, 또 매출 증가에 따른 과금/지급 수수료 증가가 주된 원인임.
- 2024년 새로이 개편될 인터넷방송 생태와 사업 구조로 인해 여러 지출이 예상되는 바임
- 따라서 매출은 크게 증가할 예정이나 이에 따른 영업 비용 증가로 2024년 영업 이익은 매출 상승률보다 적은 규모로 2023년 컨센서스 영업이익 877억과 대비해 22년 3분기~2023년 3분기 영업이익 증가율인 6%만큼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영업이익 877억 원 × 1.06 = 930억 원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됨
- 마지막으로 2024년 당기 순이익은 트위치 스트리머와 유저 유입에 따른 규모의 경제 실현 및 2024년 국제 행사 단기 수혜로 마진율 최소 20%를 유지해 4,300억 원 × 20% = 860억 원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됨
- 이에 따른 2024년 예상 EPS는 2023년 3분기 가중평균유통보통주 수 기준 860억 / 1,090만 4,971주 = 7886.31원 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됨
결론
- FnGuide 2023년 연말 추정 PER 12.84 기준 예상 2024년 주가는 12.84 × 7,886.31 = 101,260원으로 2024년 1월 5일 종가 85,200원 기준 높음으로 구매 의견이 적절하다는 결론이 도출됨
- FnGuide 2022년 연말 실제 PER 13.68 기준 예상 2024년 주가는 13.68 × 7,886.31 = 107,885원이 도출됨.
- 상기 여러 가정들이 보수적으로 설정됐음에도 불구하고 약 11만원의 주가가 나온다는 것은 최선의 경우의 업사이드가 많이 열려있음을 뜻함.
추가적 강점(Strength)과 기회(Opportunity) 고려 사항
- 아프리카TV의 “숲(SOOP)” 변경 이후 해외 진출: 아프리카TV는 동남아시아 및 아시아 지역을 선두로 24년 상반기 해외 진출을 모색하고 있음. 23년 3분기 보고서 기준 아프리카TV의 한국 외 해외 매출은 0.4%로 기회 확대가 가능한 부분
- 아프리카TV의 성비는 남자 90 대 여자 10으로 트위치의 유저 성비보다 편중이 심한 편이지만 트위치 유저의 유입을 통해 성비 개선이 가능할 수 있음 (트위치는 글로벌리 65대 35).
추가적 약점(Weakness)과 위협(Threat) 고려 사항
- 네이버의 기존 웹툰 판권 등의 콘텐츠와 결합한 송출 가능 콘텐츠 확대 가능성
- 네이버의 출혈성 지출을 통한 공격적인 스트리머 영입 가능성 등 경쟁 심화 가능성 존재
- 아프리카TV의 신사업 투자 및 해외 진출로 인한 비용 증대 가능성
- 아프리카TV의 과거 갑질 논란 시기 당시 이탈한 일부 인기BJ들은 트위치에서 아프리카로 돌아가지 않거나(감정적 이유) 못할 것임(아프리카TV가 이번 트위치 스트리머 영입 때 영구 방송 중단 조치 BJ들의 재영입은 원칙상 불가하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음)
'[📈 투자와 경제] > 종목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GEVO 미국 종목분석 (24.01.24 기준) (2) | 2024.01.25 |
---|